부트캠프/ETC 3

[부트캠프] Spring 숙련 - 개인프로젝트 피드백 반영

2단계의 createComment()에서 영속 상태가 되기 전의 comment 엔티티를 schedule의 comments에 저장하고 있습니다. 영속 상태로 만든 후에 추가하면 좋을것 같습니다.제출코드public CommentResponseDTO createComment(Long scheduleId, CommentRequestDTO commentRequestDTO) { // scheduleId 값으로 Schedule 검색 Schedule schedule = findById(scheduleId); // DTO -> Entity Comment comment = new Comment(commentRequestDTO); // Schedule의 List..

부트캠프/ETC 2024.08.30

Spring - DTO??

왜? 우리는 DTO를 사용해야할까?DTO란 무엇일까?DTO는 Data Transfer Object 의 약자로 프로세스 간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개체입니다. Web 서비스, 즉 Spring 환경에서의 DTO는 HTTP 요청의 데이터를 전달 받거나 계층(Controller, Service) 간의 이동 시에 사용 되는 객체라 이해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DTO를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점DTO를 사용함으로써 Client로부터 Entity의 정보를 숨길 수 있으며 내부 DB 구조를 변경하는 경우 코드를 유지하고 관리(유지보수)하는데 유리합니다.DTO와 Entity 클래스의 책임을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습니다.DTO와 Entity 클래스는 서로 다른 책임을 가지고 있습니다.Entity 클래스는 DB의 Enti..

부트캠프/ETC 2024.08.14